본문 바로가기

설명

홈으로 가기 TOP으로 가기

제목 : [ICK 혁신특집/오산대학교] 오산의 생태계에서 지역발전과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형 인재양성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2-09-06 조회수 : 456

이미지

 세 개의 숲(L-FOREST, E-FOREST, I-FOREST)이 모여 오산대 생태계를 이루다.
오산대학교(총장 허남윤)는 1979년 설립 이래 지성, 창조, 협력을 인재상으로 국가발전에 필요한 전문직업인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오산대는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일반재정지원대학, 3단계 산학연 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LINC 3.0사업)에 이어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사업(HiVE사업)까지 선정되면서 수도권 남부 유일의 정부 지원 3대 사업 선정 대학이라는 성과를 달성하였다.
이에 한발 더 나아가 올해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을 Vision2027으로 개선하며 “지역발전과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형 인재양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을 기반으로 지역 평생직업교육 발전계획(L-FOREST 평생직업교육혁신), 대학 특성화 계획(E-FOREST 교육혁신), 산학협력 발전계획(I-FOREST 산학협력혁신)을 포함한 대학혁신모델 LEI-FOREST를 수립하였다. 혁신지원사업은 1주기 사업 성과를 확대하고 신산업 및 지역사회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E-FOREST 혁신 계획을 통해 ①미래대응 융합 교육 강화, ②성인학습 친화형 학사제도 도입 및 운영, ③미래대응 교수학습 혁신 강화, ④자기주도형 진로취업설계 시스템 강화, ⑤역량기반 교육 질관리 체계 구축 강화, ⑥기업연계 교육모델 혁신, ⑦신학연계 활동 강화, ⑧4.0 산업맞춤형 취창업지원 강화, ⑨맞춤형 글로벌 어학역량 강화, ⑩지역어울림 협력 모델 구축, ⑪안전한 대학 환경 조성 등 교육혁신의 시너지 극대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성공적인 미래대응 융합 교육 공유·확산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을 통하여 운영된 미래대응 융합 교양 교육인 체험형 교양 및 학생설계형 교양은 오산대의 대표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기존 강의실에서 이루어지던 이론 수업방식의 틀을 벗어나 교수와 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체험형 교양은 2020학년도부터 전체 1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학생들은 공감능력, 사고 체험, 경험 공유 등의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체험형 교양과 함께 추진된 또 하나의 미래대응 교양 교육은 학생설계형 교양이다. 학생설계형 교양은 3개 분야(인문, 과학, 예술) 30개 강좌를 학생들이 원하는대로 선택하여 들을 수 있는 수업이다. 또한 100% 온라인으로 진행되어 시간 제약없이 내가 원하는 교양을 선택하서 들을 수 있어 학생들에게 큰 호응을 받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교양지식을 쌓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2022년부터 시작되는 2주기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에서는 1주기에 성공적으로 운영된 미래대응 교양 교육을 기반으로 콘텐츠 내용 및 교육품질을 강화해 나갈 뿐 아니라 우수한 콘텐츠를 선별하여 인근지역 고등학교와 공유하여 대학-고교 간 수업 공유 활성화를 추진하게 될 것이다.
 

학생 꿈 실현을 위한 맞춤형 학습 지원 프로그램
1주기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의 또 하나의 교육 성과는 학습자 맞춤형 학습지원 프로그램이었다. 기초학습지원 프로그램인 틔움 프로그램을 통해 신입생을 대상으로 기초학습능력을 진단하고 기초학습능력 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개별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였으며, 찾아가는 학습법 특강을 통해서는 학과 자율로 전공 및 학습법 관련 전문가 특강을 진행하였다. 전공학습지원 프로그램으로는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자기주도 클라스, 교수 및 또래 학생들과 공동 학습을 통해 전공 능력을 향상 시키는 어깨동무 튜터링, 전공 간 협업을 통한 융합개발물을 제작하는 창의융합경진대회 등을 통해 전공직무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특히, 창의융합역량경진대회에서 수상한 두 팀의 작품은 지역 사회 연계의 일환으로 오산·수원시 인근 보육시설 24곳과 공유하는 등 큰 성과를 이루었다. 또한, 자기주도 클라스를 통해서는 학생이 직접 제작한 자료를 해당 학과 및 동일 과목 수강 학생에게 공유함으로써 유용한 학습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산학관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기업연계교육 모델과 취·창업지원 혁신
4차 산업혁명으로 산업 현장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현장의 현실을 반영한 교육환경의 구축 및 교육 운영을 필요로 하고 있다. 오산대는 이러한 사업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지역사회를 함께 키울 수 있는 가족회사를 선정하여 대학자체의 4.0 산업맞춤형 교육과정을 추진하는 것이다. 현장 직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 현장미러형 인프라 구축- 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를 통해 산학연계 현장중심 교육환경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해 나가게 된다. 기업맞춤형 인재양성을 통한 가족회사, 지역사회의 발전을 통해 지역과 기업을 함께 키우는 창의인재, 오산대학교가 추구하는 산학협력 혁신의 모습이다.
2018, 2019년 창업우수대학 창업지원 부문 1위, 2021년 창업우수대학 대상 수상, 전문대학 종합 1위 등 우수한 대외적 성공을 달성한 오산대 창업지원단은 산업변화 대응형 전주기 창업지원 프로램을 제공하고 있다. △창업교육지원, △창업활동지원, △창업전문가 지원, △창업 후 지원으로 이어지는 창업 로드맵을 구축하여 “BTS(Based edu-Tech Spec)와 함께하는 창업선도대학”으로 도약하고, 더 많은 학생들이 창업에 대한 꿈을 실현시킬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평생직업교육 거점 대학으로의 도약
오산대는 지역협력 거버넌스 간 연계를 강화하고, 지역 내 직업교육 거점 역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전문대학이 가지고 있는 교육역량을 지역사회와 함께 나눔으로서 지역과 상생 공존하고, 재교육을 통한 인력의 양성이 재취업을 통해 지역 정주율 향상으로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의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오산대는 생애주기 맞춤 직업교육을 통해 취업기회 확대 및 지역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지역 특성에 근거한 지역 밀착형 상생 지원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지역의 균형 있는 발전에 앞장설 계획이다. 또한, 지역 밀착형 평생직업교육 고도화를 위해 성인학습자 친화적 학사제도를 개편하여 대학의 성인학습자 교육역량 향상을 통한 지역사회 발전 기여 및 지역산업체 재직자 직무역량 향상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이러한 대학-지역사회 간의 협력 관계를 통하여 지역교육공동체를 실현하고 평생직업교육 거점 대학으로 도약할 것이다.
 

[인사말] 허남윤 오산대 총장 “지역사회를 함께 키워나갈 미래 인재 양성”

  
    (허남윤 총장)
지역과의 협업, 지역과의 공존의 중요성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현실에서 이제 전문대학은 기존 고등학교 졸업생의 직업교육만이 아닌, 지역사회의 직업교육 전반을 담당하는 전문교육기관으로 역할의 확대를 요구받고 있다. 2022년에 시작된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 사업이 그러한 흐름을 보여주는 사업이며, 이러한 흐름은 점차 확대될 것이라 본다.
2022년부터 시작되는 2주기 자율혁신사업에서 오산대학교는 전주기에 맞춘 직업교육, 졸업자에 대한 사후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급격한 기술의 변화에 따라 지역내 여성, 고령층, 이주민이 소외되지 않도록 다양한 맞춤 교육환경이 구축하고, 아직 종식되지 않은 코로나로 인한 교육의 결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양한 학습방법과 추가적인 후속교육을 지원할 예정이다.
더불어 이제는 지역사회의 큰 구성원인 이주민과 외국인에 대한 학습환경을 개선하여 이들이 지역을 함께 키워나갈 인재로 양성할 계획이다. 캡스톤 디자인과 산학협력 엑스포에는 유학생과 지역민의 참여가 더욱 확대되어 축제의 객체가 아닌 주체가 되도록 지원할 것이다.
이러한 우리의 노력이 지역사회를 함께 키우는 교육혁신이라는 결실로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오산대학교는 학생들이 전인적 지성인(Integrated Devotee), 혁신적 창조인(Innovative Creator), 실천적 협력인(Implementing Cooperator)이 되어 각자의 꿈을 가꾸고 성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도울 것이다.
 
기사 출처 :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32667 (한국대학신문)
 

목록

  • 담당부서: 홍보과
  • 담당자 연락:031-370-2524  031-370-2524